장성군, 천년 비자숲 조성으로 조림사업 박차
장성군이 조림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올해 8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110헥타르(㏊) 면적에 편백나무, 목백합, 상수리나무 등 20여만 본을 식재할 계획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비자나무숲 조성이다. 장성군은 축령산 인근에 비자나무숲을 조성하여 편백숲에 이어 또 하나의 '명품 천년 비자숲'을 탄생시킬 예정이다. 장성 축령산은 국내 최대 규모의 인공 조림지인 편백숲으로 유명하며, 춘원 임종국 선생이 21년간 나무를 심어 가꿨다. 현재 산림청은 이 숲의 가치를 인정하여 '22세기를 위해 보존해야 할 아름다운 숲'으로 지정하였다. 군은 축령산 편백숲의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비자나무숲 조성에 도전한다.
장성군과 비자나무는 오랜 인연이 있다. 1962년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숲(북하면 약수리 산115-1)이 천연기념물 제153호로 지정된 바 있으며, 고려시대 각진국사가 심은 것으로 전해진다. 비자나무는 8~15미터까지 자라지만 '살아서 천년, 죽어서도 천년'이라 불릴 정도로 생장 속도가 느리다. 목재의 질이 우수해 과거에는 최고급 바둑판이나 배 제작에 요긴하게 쓰였다. 독특한 모양의 이파리와 아름다운 나무 형태로 조경수로서도 높은 가치를 지닌다.
장성군은 비자나무가 지역 생태환경에 적합한 수종이라고 판단하여, 축령산 하늘숲길 주변 5헥타르(㏊) 시범 식재를 시작으로 점차 숲의 규모를 늘려갈 계획이다.
또한, 군은 2월부터 고향사랑기부제 지정기부사업의 일환으로 '고향사랑 숲길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향우들과 장성의 성장을 응원하는 사람들이 비자숲 조성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고향사랑이(e)음 누리집에서 '특정사업에 기부하기'를 선택한 후 '장성' 또는 '숲길'을 검색하면 해당 사업을 확인할 수 있다.
김한종 장성군수는 "천년 비자숲 조성을 필두로 조림사업을 확대 추진하여 산림의 공익적·경제적 가치를 높여가겠으며, 지속 가능한 산림경영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장성군의 적극적인 조림사업이 지역 생태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